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transformer
- seq2seq
- Transformer model
- Auto-Encoding Variational Bayes
- 네이버 부스트캠프 코딩테스트 후기
- AI Math
- 트랜스포머 모델
- 네이버 부스트캠프
- 부스트캠프
- Positional Encoding
- 네이버 부스트캠프 KDT 전형
- 셀프 어텐션
- 트랜스포머
- VAE 설명
- 주간학습정리
- 어텐션
- Transformer 모델
- 포지셔널 인코딩
- 네이버 부스트캠프 AI Tech 6기
- 어텐션 행렬
- Transformer Decoder
- Transformer 디코더
- 트랜스포머 행렬
- VAE
- boostcamp
- 네이버 ai 부스트캠프
- self-attention
- VAE 논문 리뷰 #
- pytorch
- 네이버 부스트캠프 AI Tech
- Today
- Total
DH. AI
[Review] 네이버 부스트 캠프 AI Tech 5기 합격 후기 본문
부스트 캠프 AI Tech 5기 (KDT) 를 지원할 때 4기 합격생들 후기들을 참고해서 도움을 많이 받았다.
나도 6기, 7기 ... 부스트 캠프 지원자들을 위해서 후기를 남겨보고자 한다.
[지원] 서류 제출
- 왜 지원했는지, 부캠을 선택한 이유와 AI 엔지니어가 되기로 결심한 이유(500자 내외)
- 소프트웨어나 인공지능 개발 경험, 뭘 고민하고 어떤걸 배웠는가(500자 내외)
- 5년 뒤 나는 어떤 개발자가 되어있을까(500자 내외)
- 자기 스스로 학습한 기억 또는 성공적인 학습 경험(300자 내외)
코딩 테스트 동점시 서류를 본다고 되어 있기때문에 서류가 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코딩 테스트를 잘 볼 자신이 있어서 서류를 조금 대충 썼는데, 최종 합격 발표가 날 때까지 매우 긴장됐다... 이왕이면 지원서를 열심히 써보자.
추가로 블로그와 지금까지 했던 프로젝트나 대회 경험들을 pdf로 만들어서 제출했다.
[지원] Pre - Course
Pre-Course 자가진단 꼭 풀어보고 시험에 응시하자!
부스트 코스에서 Pre-Course 강의를 들어서 가산점을 받았다. Pre-Course는 미리미리 들어서 꼭 수료증을 제출 하자. Pre-Course에서 이전 기수 기출문제(?)를 자가진단 할 수 있는데, 여기서 어떤 유형의 문제가 나오는지 알고 온라인 AI 역량 테스트에 응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1차] 온라인 AI 역량 테스트
온라인 AI 역량 테스트에서는 2시간 동안 기초 수학지식, AI 기초 지식, 프로그래밍 역량(코딩 테스트)을 확인한다.
1. 프로그래밍 역량 (코딩 테스트)
총 5문제로,구현 문제가 대부분이었다. 5문제 4솔로 합격했다. 4문제는 프로그래머스 Lv.1 ~ 쉬운 Lv.2 난이도 였고 4 문
제를 30분 만에 풀었다. 마지막 문제는 끝까지 풀어보았지만 해결하지 못하고 테스트가 종료되었다. 코딩 테스트도
Pre-Course 자가진단 나오는 문제들을 꼭 풀어보고 시험장에 들어가길 추천한다.
2. 기초 수학지식, AI 기초 지식 (총 20문제)
총 20문제로 Pre-Course에서 나온 내용, Pre-Course 자가진단과 비슷하게 출제 되었던 것 같다. 나는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과, 선형대수 지식이 있어서 20문제 중 몇 문제 안틀렸던 것 같다. 파라미터 수 계산, 선형대수, 머신 러닝 지식 등
각종 문제들이 나온다. 개인적으로 코딩 테스트 보다 더 어려웠다.
3. 설문조사 7문항
1차 때도 어떤 트랙을 선택 할 지 물어보지만, 2차 온라인 코딩테스트 때 확정적으로 정해진다.
[1차] 온라인 AI 역량 테스트 결과
나에게 행운이 따라주었는지.. 결과는 합격이었다! 온라인 AI 역량 테스트만 통과하면 6기에서는 2차 온라인 코딩테스트만 응시하면 되기 때문에 코딩 테스트에 자신이 없어도 온라인 AI 역량 테스트라도 합격해놓길 추천한다.
[2차] 온라인 코딩 테스트
2차 온라인 코딩 테스트에서 CV, NLP, Recsys 중 Track을 확정 한다.
코딩 테스트는 총 8문제로 구성되어 있었다. 1차의 코딩테스트 보다 난이도가 확 올라갔다.
개인적인 난이도 (프로그래머스 기준)
Lv.1 : 1 문제
Lv.2 : 4 문제
Lv.3 : 3 문제
Lv.1 ~ Lv.2 는 구현 문제들이 대부분이었고, 트리 문제가 한 문제 있었다. Lv.3 문제는 7번 8번은 너무 어려워서 제대로 보지도 못했다.
[2차] 온라인 코딩 테스트 결과
나에게 큰 행운이 따라주었다.. 8문제중 5솔로 합격했다. 4기에서 4솔로 합격했다는 후기들을 많이 봐서 사실 기대를 하고 있었다...
최종 합격자들을 보면 3솔로 합격하신 분들도 있었고 6솔 7솔인데도 떨어진 분도 있었다. 다른 코딩 테스트를 볼 때 테스트 케이스만 맞았다고 넘어가지 말고, 꼼꼼하게 생각하면서 (시간복잡도 등..) 문제를 풀어야 겠다고 생각했다.
네이버 부스트캠프 AI Tech 합격 꿀팁
1. 코딩 테스트
나는 구현, dfs bfs 위주로만 공부했다. 프로그래머스 1,2 레벨을 거의 다 풀었고 자가진단 문제들도 거의 대
부분 풀고 시험에 들어갔다. 더 안전하게 합격하기 위해서는 구현과 dfs bfs 문제들을 먼저 하고, 추가로 정렬, 이진트
리, dp 등 다른 자료구조의 공부가 필요할 것 같다.
2. AI 역량 테스트
AI 역량 테스트는 Pre-Course 수강과 자가진단이 매우 중요한 것 같다. 나는 통계학 전공자이고, 인공지능에 대한 기본 지식이 있었기에 AI 역량 테스트가 성적이 잘 나왔지만, 비전공자나 처음 인공지능을 접하는 사람들은 Pre-Course를 무
조건 듣고 이해가 가지 않는 내용은 구글링이나 책을 통해서 공부를 꼼꼼히 하는 것을 추천한다.
트랙별 지원자는 CV가 가장 많은것 같았고 뽑는 인원도 CV가 가장 많다고 들었다. 개인적으로 트랙별 합격 컷은 운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추측한다. 자기가 정말 배우고 싶다고 느낀 트랙으로 신청했으면 좋겠다.
마무리
제대로 준비한 기간은 약 3주 인데 머신러닝, AI, 선형 대수 등 기본 지식이 있었고, 코딩테스트도 학기중이나 방학에 스터디를 통해서 6개월 정도 해놓았다. 사실 엄청 간절한 마음으로 열심히 준비를 하지는 않았지만 평소에 준비를 많이 해놔서 붙었던 것 같다. 막상 붙으니까 기분이 좋았다.
열심히 준비했다면 더 편하게 붙을 수 있었을 것 같다. 이 글을 읽는 사람이 있다면 한번 제대로 준비 해봤으면 한다. 맘먹고 공부하면 충분히 누구나 합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화이팅 !
'[Boost Camp AI 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ost Camp AI Tech] Week4 (0) | 2023.04.30 |
---|---|
[Boost Camp AI Tech] Week3 (0) | 2023.04.29 |
[Boost Camp AI Tech] Week2 (0) | 2023.03.31 |
[Boost Camp AI Tech] Week1 (4) | 2023.03.20 |